신춘문예당선작

[2009년 창조문학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 접시 / 김형출]

자크라캉 2009. 2. 3. 11:08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현섭맘답례품-돌잔치답례품]님의 블로그에서

 

 

[2009년 창조문학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 김형출

시계 접시가 앞에 있다 
호모 엑스페르투스(homo expertus)*는 접시 위에
떨고 있다 
애처로운 눈과 마주쳤을 때엔 미안하다 
나는 시방 굶주린 식탐이다 
사(沙)접시는 일회용 접시가 아닌 우리네 인생 
접시 안에 빛깔 좋은 어둠들이 모여 있다 
붉은 토마토, 노란 오렌지, 흰 실타래,
파란 고추, 빛살 좋은 생선회조차 
일상을 움켜잡고 떨고 있다
인생은 수평으로 드러누워  
접시 안을 비어놓은 눈물 한 방울 
'큰 소리를 내면 접시가 깨어진다.'는 이것은 
진부한 얘기이다 
그래서 정갈한 내 머리카락은
눈물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2009 창조문학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자 김형출 시인


[당선소감]

기축년 희망찬 새해가 밝아왔습니다. 아들과 함께 해돋이 맞이하러 부용산에 오를 준비를 하던 참에 잠에서 깨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를 켜니 새해 첫날, 가장 먼저 날아든 신춘문예당선통보는 찌릿했습니다.
기쁜 소식은 중심을 잃지 않는 올곧은 시인이 되라는 채찍으로 생각하고 시 짓는데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저에게 용기를 주신 창조문학신문과 서툰 작품을 선 하여주신 심사위원님께 감사들이며 현재 투병 중인 아들에게 용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들아! 사랑한다.”
또한, 문학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새해 인사를 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짓고 하시는 소망 이루십시오."
감사합니다.
                                        2009년 01월 01일
                                        새해아침 김 형 출 올림.


*호모 엑스페르투스(homo expertus): 실험하는 인간의 속성 


 

[심사평]

  2009년 창조문학신문 신춘문예는 문학도들의 큰 축제의 장이었다. 특히, 엄청난 시들이 산더미 같이 몰려와 저마다 다른 색깔로 글자 맞추기를 하고 있었다. 그 많은 작품들 중에서 여러 편을 골랐다. 그런데 다 좋은 작품들이었다. 좋은 작품들을 더 이상 내려놓을 수가 없어서 모두 당선작으로 힘 있게 한국문단에 내밀었다. 나는 그 좋은 작품들을 다 버리고 꼭 한 작품만 선택해야 할 시적 자유가 없다. 혹자가 꼭 한 작품만 뽑아야 된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시의 자유를 구속하는 것이다. (이 글은 다른 모든 시들에 대한 전체적인 심사평이다. 그리고 각 작품마다 작품 평론을 싣는다.)


[김형출의 시 ‘접시’에 대한 문학평론] / 박인과 문학평론가

 


“Homo Expertus적 전이로 떨고 있는 눈물 한 방울로 응축된 긴장력”



  인간의 모든 삶은 실험의 연속선상에 있다. 그토록 인간은 실험에 대한 굶주림, 혹은 결핍 그 자체로서 몸부림하는 존재이다. 그래서 글을 쓴다.

  창조문학신문 신춘문예에 아주 귀한 시가 들어왔다. 김형출의 시 ‘접시’ 혹은 ‘시계접시’가 그것이다.

  김형출의 시 ‘접시’의 그 시계 접시는 삶의 시간과 공간과 본질의 흔들림의 궤도 앞에서 가지런히 정돈된 사고의 색깔들을 탐구하는 인간의 갈급함의 DNA 구조로서 튼튼한 생명의 빛깔을 희구한다.

  호모 엑스페르투스Homo Expertus는 실험하기 좋아하는 인간의 속성. 인생이란 그렇게 날마다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세상이라는 접시를 애닯게 바라본다. 그러면서 존재의 빈 공간 본질적 그리움의 자아에 접속되면 애처롭기 그지없는 모습으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것인데, 사람은 항상 싱싱한 생명에의 결핍을 느낀다. 그래서 삶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삶이 존재하지 않으면 역으로 결핍은 충만으로 바뀐다고 어리석은 사람들은 믿고 있다. 결핍을 결핍하고 있는 지혜로움, 그것이 신, 혹은 시어 한 낱말로 못박힐 문장을 찾고자 하는 시발점이 되는 것이다. 인간은 항상 스스로 치유하지 못하고 이렇게 신, 혹은 시어와 같은 타자의 희생에 의해 완전에 이르는 묘한 존재이다. 이것이 시를 쓰게 하는 동기가 된다. 작가에게 있어서 살아있는 문장 하나하나가 삶의 시원한 생명의 코드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그 문장의 코드를 찾아내면 그 문장은 우리의 영혼의 코드와 맞닿아서 영원한 그리움과 희열을 불꽃처럼 발산시켜 주는 것이다.

  접시, 우리의 시간 속으로 나타나는(잠깐, 여기에서 시간의 부재 속에서는 접시란 없다) 유령 같은 미확인 비행물체를 비행접시UFO라 한다. 그렇다면 반대로 그 비행접시에서 바라볼 때는 우리가 비행접시이다. 그것이 시간의 세계에 있으므로 시계접시라 한다.

  김형출이 끝까지 그리고자 했다가 형상화 시키지 못한 시계접시는 시간의 근원을 담고 있는 그릇이다. 그러기 때문에 형상화 시키는 순간 우리의 존재들은 삭제되어버리고 말 것이다. 시간이 형상화 되는 순간 그것은 시간의 정지를 뜻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형출은 시계 접시를 완전히 형상화 시키지 못하는 내면의 갈등과 무척이나 싸우고 있는 듯하다. 이것이 시다. 시의 행위이고 시의 거룩한 노동이다.

  그래서 김형출 그가 창작하고자 하는 것, 즉 형상화 시키고자 하는 것은 시계 접시이다. 이 시의 시어로 나오는 ‘시계 접시’, 이 시어에 할 말이 다 들어 있다. 그런데 독자에게 말 걸기 위해 김형출은 풀어놓는 것이다. 이 시의 심장은 바로 이 ‘시계 접시’인 것이다. 시계 접시 안에서 모든 빛깔들이 숨 쉬는데 이것들이 바로 시어로서 각기 현란한 색깔들로 재탄생되고자 몸부림하며 떨고 있는 것이다.

  시계접시는 실험하는 인간의 속성이면서 실험 당하는 인간의 피동적 아픔이 함께 내재되어 있는, 많은 의미가 함축되고 함의되어 있는, 다의어이다.

  김형출은 이 시계 접시의 애처로운 눈빛에는 항상 미안하다고 한다. 미안할 수밖에 없다. 애처로운 눈은 시계 접시 위에서 떨고 있는 ‘나’이거나 다른 시간 속의 어떤 존재에 대한 인식의 발견을 생각케 한다. 이러한 시계 접시의 자유, 그 시간의 울타리로 둘러쳐진 무한한 자유에 대해서 우리는 무슨 언어로 자유라는 미명 아래 시계접시를 구속할 것인가.

  미안해 하면서 인류는, 작가의 양심은 또 다른 굶주림으로 목말라 한다. 그것이 영원한 접시의 비밀이다. 접시는 일회용이 아닌 우리의 삶으로서 우리의 삶은 자연적으로 점점 진보하고 있을 뿐, 실험에 의해서 꼭 진보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실험에 의한 일회용으로 버려지는 폐기물의 인생이 아니라는 것이다.

  인생은(접시는) 수평으로 눕는다. 실험하거나 실험당하는 시계접시이기 때문이다. 만인은 범우주적으로 수평처럼 평등한 것. 더구나 김형출이 형상화 시키고 있는 이 시에서 실험 접시는 인간에게만 한정되지 않고 범우주적으로 평등하게 적용된다는 인식이 채집된다. 그래서 김형출의 ‘미안한 시’는 자유=
  큰 소리를 내면 과연 이 시계접시가 깨어질까? 그렇지 않다. 인간은 어떤 두려움 앞에서도 물러서지 않고 실험을 한다. 죽음 앞에서도 잔인한 실험을 한다. 그래서 그 실험이라는 접시는 깨질 수가 없다. 인간은 실험하는 속성이기 때문에 실험이 깨지면 인간 자체가 존재하지 못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있는 김형출의 정신세계가 유리알처럼 투명하다.

  김형출의 알레고리적 진실을 좇아 좀 더 우리의 추적이 진보해 보면 곧 알게 된다. 아예 우리 인생은 큰소리조차 발할 수 없는 자유이다. 그 자유가 떨고 있는 것이다. 생이란 깨지기 쉬운 그릇이지만 결코 일회용 접시가 아니라며 긍정하지 않는 태도로 떨고 있는 것이다.

  김형출은 어쩌면 틀을 깨고자 한다. 기존의 관념의 껍질을 찢어내 버리고 다른 세상을 시의 거울을 통해서 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세계이다. 영원한 세계를 시계접시로 보고 있다. 시계 접시 안에는 온갖 빛깔들이 다 있듯 시간의 근원이 다 시계 접시 안에 들어있다고 긍정하는 태도이다.

  그래서 종내는 인생이 시계접시가 된 것으로서 영원한 시간을 인생이란 그릇에 담을 수만 있다면 몸을 바쳐 시의 빛깔을 투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것이 머리카락이 흘리는 눈물로서 비유되어 있다. 머리카락은 인간의 모든 것을 대변할 수 있는 제유어이다. 그래서 이 시는 모든 삶과 모든 존재인 나의 전체의 눈물을 담아놓은 본체이다. 삶을 통째로 눈물로서 관조한다는 것이다. 인생은 이제 눈물 한 방울 같은 것이라는 것, 이것은 시간의 뒤꼍에 숨어 숨죽인 채 올라오는 시상의 파릇파릇한 따뜻한 언어이다.

  내 생애 참으로 귀한 따뜻한 시인을 만났다. 그대, 아프지 말기를 명한다. <박인과 문학평론가>




[심사위원] / 2009 창조문학신문 신춘문예

고용길(신춘문예 등단 시인), 이상미(신춘문예 등단 시인), 김기수(신인문학상 등단 시인),
최성훈(신춘문예 등단 시인), 홍지희(신춘문예 등단 작가), 정선교(신춘문예 등단 소설가),
박인과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