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당선작

눈은 길의 상처를 안다<시조> / 이민아

자크라캉 2007. 1. 8. 13:37

 

                        사진<다음 지역정보 시티> 에서

 

`0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은 길의 상처를 안다  / 이민아

 

 

무제치늪* 골짜기에 사나흘 내린 눈을
녹도록 기다리다 삽으로 밀어낸다
사라진 길을 찾으려 한삽 한삽 떠낸 눈

걷다가 밟힌 눈은 얼음이 되고 말아
숨소리 들려올까 생땅까지 찧어본다
삽날은 부싯돌 되어 번쩍이는 불꽃들

성글게 기워낸 길 간신히 닿으려나
내밀한 빙판 걷고 먼 설원 헤쳐가면
삽 끝은 화살 같아져 모서리가 서는데

결빙에 맞서왔던 삽날이 손을 펴고
쩌엉 쩡 회색하늘에 타전하는 모스부호
마침내 도려낸 상처 한땀 한땀 기워낸다



*무제치늪 : 울산 울주군 삼동면 정족산(鼎足山)에 자리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고층습원(高層濕原). 6000여 년 전 생성됐으며 지금도 수많은 습지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심사평>

 

이근배 (시조시인)
땅속 깊이 뿌리박은 나무가 봄을 만나 꽃을 피우듯이 시조는 신춘문예를 만나 새 잎을 틔운다. 시조가 현대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난 지 100년을 맞은 지난해에는 모국어의 가락이 크게 소용돌이쳤다. 그런 까닭일까, 응모작들이 예년에 비해 형식과 내용의 각도에서 날을 세우고 있었다.

신춘문예를 의식한 소재와 주제를 다룬 작품들이 고른 수준을 유지하며 앞서 달려오고 있었으나 의욕과 실험정신을 완성도 높게 채우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또한 시조는 시각적 형식미에서 자유시와 식별시켜야 함에도 의도적으로 구와 장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 표기법을 쓰는 유형을 경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시조가 자유시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형식의 파괴가 아니라 내재적 의미의 농축에 힘써야 하고, 글감잡기에서 형상화까지 치밀하게 결구(結構)해야 할 것이다.

당선작 ‘눈은 길의 상처를 안다’(이민아)는 순수한 원형을 지닌 눈이라는 오브제에서 상처를 만들고 그것을 도려내는 메스를 잡는 손이 능숙하다. 계절성을 띤 소재이면서 일상에서 끄집어내기 어려운 시의 줄기를 찾아가는 생각이 살아 있다. 명사 ‘삽’을 거듭 쓰는 것과 새맛내기가 덜한 점이 있으나 발상의 깊이가 있고 감성의 칼끝에 날이 서 있어 시조에 한몫 하리라는 기대를 갖는다.

마지막까지 겨룬 작품으로 ‘무용총수렵도를 보며’(방승길), ‘신 공무도하가’(박채성) ‘탁본’(송은율) ‘그 겨울의 갯벌에서’(송유나), ‘숲과 그루터기’(설우근) 등이 숨 가쁘게 시조의 벽을 타고 넘고 있었으나 다음 기회로 넘겨지게 되었음을 밝힌다.

 

<당선소감>

 

이 민 아
△1979년 서울 출생
△2002년 부경대 국문과 졸업
△2004년 해양수산공모전 창작부문 해양수산부장관상 수상
△2007년 대구매일 신춘문예 시조 부문 당선
△현재 울산 보라컨트리클럽 근무

이태 전 고속도로 교통사고 이후 시 습작은 한 손에도 꼽지 못할 만큼 빈약했다. 열정에 대한 자기검열과도 같았던 이번 투고는 시마(詩魔)에 들린 듯 밤을 새며 쓴 연애편지였던 셈이다.

심사위원 선생님과 동아일보사에 충심으로 감사드린다. 7년 간 거듭된 낙선의 시간이 시어의 살결을 단단하게 하기 위한 염장(鹽藏)의 숙성기와 닿아 있음을 깨닫는다. 객토를 하듯 스스로 경계하며 시조의 부단한 걸음을 한 발씩 딛고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당선 통보를 받고 일터인 골프장으로 나가 솥발산 무제치늪 너머를 오래 바라보았다. 은현리에 계신 정일근 선생님의 응원에 가슴이 뜨거워진다. 부경대 국문과 은사님, 국제 가족들과 박정애 선생님께 감사의 눈물로 연하장을 적는다. 학창시절 문학을 꿈꾸게 해 준 대산문화재단과 절정문학회에도 안부를 전한다.

지금처럼, 눈 덮인 길을 함께 헤쳐 갈 어머니와 가족. 더불어 내 생의 모든 필연과 4월 이후 잠시 찾아온 회복과도 같은 이 기쁨을 나누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