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작_ 신철규/ 유빙(流氷)
유빙(流氷)/신철규
입김으로 뜨거운 음식을 식힐 수도 있고
누군가의 언 손을 녹일 수도 있다
눈물 속에 한 사람을 수몰시킬 수도 있고
눈물 한 방울이 그를 얼어붙게 할 수도 있다
당신은 시계 방향으로,
나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커피 잔을 젓는다
맞물린 톱니바퀴처럼 우리는 마지막까지 서로를 포기하지 못했다
점점, 단단한 눈뭉치가 되어갔다
입김과 눈물로 만든
유리창 너머에서 한 쌍의 연인이 서로에게 눈가루를 뿌리고 눈을 뭉쳐 던진다
양팔을 펴고 눈밭을 달린다
꽃다발 같은 회오리바람이 불어오고 백사장에 눈이 내린다
하늘로 날아오르는 하얀 모래알
우리는 나선을 그리며 비상한다
공중에 펄럭이는 돛
새하얀 커튼
해변의 물거품
시계탑에 총을 쏘고
손목시계를 구두 뒤축으로 으깨버린다고 해도
우리는
최초의 입맞춤으로 돌아갈 수 없다
나는 시계 방향으로
당신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우리는 천천히 각자의 소용돌이 속으로
다른 속도로 떠내려가는 유빙처럼,
-------------------------------------------------------------------------------------------------
[당선소감]
제자리에 머물고 있던 저를 독려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
나의 상처가 타인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면죄부가 되지는 않는다. 우리는 상처받지 않기 위해 타인에게 상처를 주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신의 상처가 지워지지는 않는다.
우리가 증오해야 할 대상은 상처받은 사람도 상처받지 않은 사람도 아니다. 지금도 여전히 자신의 상처를 지우기 위해 타인을 벼랑끝으로 내모는 자들이다.
타인은 언제나 나의 시야에서 멀어진다. 나를 타인의 자리에 놓지 않을 때, 타인의 눈빛과 목소리에 집중하지 않을 때, '소통'은 거짓과 위선이 될 수 밖에 없다. 자신의 결핍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조금씩 버리는 것이 용기라고 생각한다. 나의 구원만큼 타인의 구원도
중요함을 깨닫는 것이 사랑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바라본는 현실이 세계의 전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위대한 거절;을 실천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우리는 아이에서 진정한 어른이 된다.그러나, "언제나 아이처럼 울 것" 더디게 쓰더라도 그만두지는 않겠다.
시 한 편과 한 편 사이에서 열길 낭떠러지가 있음을 잊지 않겠다.
한 줌의 시를 건져 올려주신 문정희, 정호승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저ㅣ자리에 머물고 있던 저를 독려해주신 최동호선생님과 선후배님 동학들께 감사드립니다.화요팀선생님과 문우들 때문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가족들, 친지들, 덕분에 살고 있습니다. 멀리 계신 스승들과 가까이 있는 지인들에게 기쁜 소식이 되었으면 합니다.내 시의 시작이자 끝인 할머니, 오래 사세요. 은영아, 사랑해.
- 1980년 경남 거창 출생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심사평]
인간의 비극적 관계를 미세하게 통찰하는 눈 돋보여
신춘문예 투고 시는 한국 현대시의 미래를 밝히는 작품이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작품을 찾긴 힘들었다. 최종심에 남은 작품은 임여기의 ‘면접관’, 정승기의 ‘실종’, 이재흔의 ‘스파이더맨의 후예’, 이도은의 ‘아주 식물적인 꿈’, 신철규의 ‘유빙’ 등 5편이었다. ‘면접관’은 면접관과 면접인 간의 관계 대립을 긴장되고 설득력 있게 고조시켜나갔으나 결구 부분이 너무 안이했다. ‘스파이더맨의 후예’는 고층빌딩 유리창을 닦는 삶의 현장을 선명하게 나타냈으나 ‘제각기 다른 일상의 벼랑 끝에서 한 번씩은 실족했던 사연들이’ 같은 표현이 산문적이고 진부했다. ‘실종’ 또한 현대인의 실종의식을 진지하게 추구한 작품이었으나 전체적으로 산문의 옷을 입고 있다는 점이, ‘아주 식물적인 꿈’은 식물적인 꿈과 연결된 우리 삶의 구체적 양상이 불명확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돼 결국 당선작은 ‘유빙’으로 결정되었다. ‘유빙’에는 인간의 비극적 관계를 미세하게 통찰하는 개성적인 눈이 있다. 현대사회의 개체적 삶을 ‘각자의 소용돌이 속으로/ 다른 속도로 떠내려가는 유빙’에 은유한 점은 높이 살만하다. 시 본래의 내재적 리듬감을 살려 유연한 속도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신인다운 내면적 사고의 흐름도 알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도 과장된 이미지나 허장성세가 없고 기성의 어떤 억지스러운 틀에 갇혀 있지 않아 자유분방하다. 한국시단의 대들보가 되길 바란다.
문정희· 정호승 시인
'신춘문예당선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부산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나무의 문 / 김후인 (0) | 2011.01.02 |
---|---|
[2011년 국제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바람의 겹에 본적을 둔다/김지혜 (0) | 2011.01.02 |
[201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 속옷 속의 카잔차키스/이길상 (0) | 2011.01.02 |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 오늘의 운세 / 권민경] (0) | 2011.01.02 |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당선작]-뿌리에게 / 나희덕 (0) | 201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