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siliy Vasil'yevich Kandinsky
Colorful Ensemble (738x550pix, 96kb)
♣ 칸딘스키 ♣
러시아 출신의 프랑스의 화가. 모스크바 출생. 1939년 프랑스에 귀화하였다.
현대 추상미술을 창시한 한 사람이며 처음에는 법률과 경제학을 배웠으나,
1895년 인상파전을 보고 모네의 작품에 감명을 받고 이듬해인 96년 뮌헨으로
옮겨 아즈베와 F.슈투크에게 사사하여 화가로 전향하고 1905년 살롱 도톤의
회원이 되었다.
그 전후에 이탈리아·튀니지·프랑스 등지를 여행하고,
1908년 이후 뮌헨·무르나우에 살면서, 10년에 최초의 추상회화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현파인 프란츠 마르크와 함께 뮌헨에서 예술가 집단인 ‘청기사’를 조직
하여(1911), 비구상 회화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 후 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모스크바로 돌아가, 18년 미술학교 교수가
되었으나 21년 다시 베를린으로 가서 이듬해부터 33년까지 바우하우스의 교수
(처음 바이마르, 25년부터 데사우)로서 후진지도와 신예술 개척에 힘썼다.
만년에는 33년부터 프랑스에 정주하여, 여행 이외에는 파리 교외의 누이쉴센에
살았으며, 37년 나치스가 퇴폐예술가라고 지적하여 작품이 몰수당한 적도 있다.
그는 현대 추상회화의 선구자로서 대상의 구체적인 재현에서 이탈, 선명한
색채로써 교향악적이고도 다이내믹한 추상표현을 관철한 후 점차 기하학적
형태에 의한 구성적 양식으로 들어갔으나 P.C.몬드리안과는 또다른 독자적인
발전의 자취를 남겼다.
주요작품으로는 《푸른 산》 《즉흥 14》 《검은 선들》《가을》 《콤포지션 7》
등이 있으며, 또 추상미술 이론가로서도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점·선·면》
등의 저술도 남겼다.
Colorful Life (552x696pix, 102kb)
Nymphenburg
(1904, 24x32cm; 904x1275pix, 920kb _ ZOOM to 1704x2403pix, 3420kb,
and admire the texture of the canvas, bare in places,
and which shows through the paint everywhere else,
except in a few spots where the paint is slopped on thickly enough)
Stressed Center
(600x1602pix, 467kb)
Autumn in Bavaria (1908, 33x45cm)
Cemetery & Vicarage in Kochel (1909)
Gabriele Münter (1905; 632x650pix, 137kb)
Improvisation 7 (1910, 131x97cm)
Composition IV (1911, 159x250)
Composition V (1911, (190x275cm)
Composition VI (1913, 195x300cm)
Composition VII (1913, 200x300cm)
Fragment 2 for Composition VII (1913, 88x100cm)
Composition VIII (1923, 140x201cm)
Composition IX (1936, 114x195cm)
Composition X (1939, 130x195cm)
Black Spot I (1912, 100x130cm)
Ravine Improvisation (1914, 110x110cm)
On White II (1923, 105x98cm)
Small Pleasures
Black and Violet (1923)
Contrasting Sounds (1924, 70x50cm)
Painting with Houses (408x550pix, 50kb)
Yellow, Red, Blue (1925, 127x200cm)
♣ 칸딘스키의 추상화 ♣
어느날 칸딘스키는 자신의 작업실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그림이 너무나 안되던 칸딘스키는 산책을 나갔다가 작업실에 돌아
오게 되었다. 그런데 문을 열고 들어온순간 지금까지 본적이 없었던
너무나 멋진 그림이 창문에서 들어오는 빛을 받으며 빛나고 있었다.
한참을 바라보던 그는 다가가서 그림을 본순간 그 그림이 자신의
그림이라는 것을 알았다. 자신의 그림이 뒤집어져 있었던 것이다.
그것을 보고 칸딘스키는 그림의 형태가 빛과 재료에서 만들어지는
아름다움을 얼마나 방해하는가 하는 생각에 추상화를 그리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