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스럽게 와 닿는 주제의식, 수난을 통해 존재감 얻어가는 과정도 신선
투고자들이 '평화신문'이라는 발표 지면을 염두에 두지 않고 시를 쓰고 있어서 이 점 다행스럽게 생각했다. 종교인으로서 전교나 신앙심 표현을 위해 의도성을 갖고 쓴 작품이라면 문학적 진실에 못 미칠 수 있어 내심 걱정하며 심사에 임했는데 그런 작품이 많지는 않았다.
<책의 장례>를 쓴 김은호, <나는 풍경이 아니다>를 쓴 정지윤, <손톱>을 쓴 예시인, <오징어먹물 B2, 혹은 자산어보에 대한 고찰>을 쓴 황옥경, <목이>를 쓴 김현희 다섯 분은 모두 운이 따라주지 않아서 아직 등단을 못한 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발군의 작품이 눈에 안 띄는 대신 다 일정 수준에 이르러 있어 상대적으로 흠결이 덜한 작품을 고를 수밖에 없었다. 그만큼 수준이 상향됐다고 할까, 평화신문 신춘문예의 위상이 높아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겠다.
<책의 장례>는 초반부와 중반부의 신선함을 후반부에 가서 잃어버리고 있는 것이 안타까웠다. 잘 끌고 가다가 전환점에서 "할머니 강아지 '토토' 돌아가셨다" 하면서 엉뚱한 방향으로 가버렸다. 마지막 연도 밋밋하다. <나는 풍경이 아니다>는 표현은 상당히 세련돼 있는데 궁극적으로 무슨 이미지를 보여주려는 것인지,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것인지 잘 파악되지 않는다. 나는 풍경이 아니라면 무엇일까? 시의 본문에 '않는다'라는 부정적 표현이 다섯 번이나 나오는 것도 이 시의 주제를 흐리게 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손톱>은 10개가 넘은 쉼표를 쓰면서 진행되는 중문과 복문이 많은 산문시로써 시의 운율이 완전히 죽어버린 결함이 있지만 손톱을 유리창으로 본 발상의 참신함과 시적 표현의 세련됨, 현란한 이미지 묘사는 선외로 밀치는 것을 망설이게 했다. <오징어먹물 B2…>는 좋은 소재를 찾아냈지만 '고찰'까지 이르지 못했다.
김현희의 투고작 중 제일 앞의 <목이>는 세련된 감각이 돋보였지만 표현기법이 낯익은 것이 문제였다. 제일 뒤에 있는 <그늘>은 생명체의 생명 유지 비밀을 캐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후박나무를 키우는 것은 햇빛만이 아니다. 나무를 의인화한 뒤에 그늘과 바람과 새와 폭설의 의미를 짚어보면서, 생명이 자기 목숨을 지키기 위해서는 유아독존해서 안 되고 주변의 모든 사물과 교류해야 함을 말해주는 주제가 자연스럽게 와 닿는다. 나무가 수난을 통해 존재감을 얻어가는 과정도 신선한 발견이다. 당선을 축하하며 정진해줄 것을 당부한다.
[심사위원 이승하, 정호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