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당선작

[2009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입춘 - 안성덕

자크라캉 2009. 1. 5. 11:48

 

 

사진<어머니의 정원>님의 카페에서

 

 

[2009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 안성덕

 

 

   골판지는 골판지대로 깡통은 깡통대로

   끼리끼리 모여야 밥이 된다고

   삼천변 요요要要자원* 파지 같은 생들이

   마대자루에 빈 페트병 고봉으로 눌러 담는다

   오락가락하던 진눈깨비가 물러간다

   유모차에 생활정보지 걷어오는 할머니

   치마꼬리 따라온 손주 볼이 발그레하다

   어슬렁거리던 누렁이가 꼬리친다

   쥐불 놓는 아이들의 함성 오종종 모여 있는 갈밭

   풀린 연기 사이로 북녘을 가늠하는

   오리떼 몸통이 통통하다

   버들개지 은대궁도 제법 토실하다

   모두 요요夭夭하니

   풀려나간 요요yoyo가 제 목줄 감아올리듯

   스르르 계절조차 되돌아온다

   쥐불 놓은 갈밭에도 펜촉 같은 새순이 돋아

   돌아올 개개비떼 노래 낱낱이 기록하겠다

   코흘리개 맡겨놓고 감감 소식 없는 며느리도

   한 소식 보내오겠다

 

   *전주 삼천변에 자원재활용센터 요요자원이 있다 

 

 

 

▷약력

▷1955년 전북 정읍 출생

▷현 한국전력 전주전력관리처 근무

 

■ 당선소감

- "이제 시작..사람냄새 채우겠다"

이미 일가를 이루었어야 할 다 늦은 때 나를 찾아온 시는, 내가 나를 달달 볶게 했다. 소싯적 이웃집 가시내처럼 희멀건 목덜미 슬쩍 내보이고는, 풀풀 살 냄새 흘리고는 그뿐, 내게 눈길 한 번 주지 않았다. 숱한 밤 잠 못 들고 열뜨게 했다. 먹다 남은 소주병을 찾게 한 밤이 많았다.

희미한 불빛을 따라가다 돌부리에 차여 고꾸라졌었다. 고꾸라진 나를 일으켜 세우고 깨진 무르팍 쓰리게 닦아 딱지 앉게 해준 형 같은 아우가 있다. 그 상처 덧나지 않도록 호호 불어 처매주고, 다시는 넘어지지 말라고 두 다리에 힘을 넣어준 선생님이 계신다.

내게 언제까지 곁눈질 할 수 있는 핑계 하나 만들어 준 전북일보와 두 분 심사위원님께 큰절 올린다. 떠오르는 얼굴들이 많다. 강연호 교수님 고맙습니다. 박성우 시인 고맙다. 고향집을 홀로 지키는 어머니, 곁에서 묵묵히 지켜봐 준 아내와 두 아들 지혁 동녘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지루한 내 삶에 위로가 된 적도 아주 없진 않았던 시, 재촉하지 않겠다. 연필심에 침 발라가며 밤새 풀잎에 이슬 내리는 소리 또박또박 받아 적겠다. 원고지 한 칸 한 칸 사람냄새 채워 넣겠다.

아파트 모퉁이에 '행복수선'이라는 헌옷 수선집이 있다. 해지고 구멍 난 옷만 수선되는 게 아니라, 조각나고 망가진 우리들 행복도 수선될 수 있다면 좋겠다. 뜻하지 않은 경제난으로 춥고 긴 겨울을 보내고 있는 사람들에게, 꽃 피고 새 우는 봄날이 빨리 왔으면 참 좋겠다.

 

 

              이운룡                            정양

 

심사평

- 촘촘한 얼개, 지난한 삶 극복의 따뜻한 주제의식

 

전북 거주의 응모자가 많았음을 큰 기쁨으로 생각했다. 작품 수준도 크게 향상되었음을 읽었다. 응모작들의 문법은 거의 정확했다. 구조의 탄탄함도 믿음직했다. 시대나 사회적인 문제의식보다는 시 본연의 감각과 감수성을 기조로 한 시들이 만만치 않았다. 다만 장광설 또는 단순 처리로 아쉬움을 준 시, 명쾌해야 할 전달력이 불투명하게 처리된 시도 없지 않았다.

걸러내고 걸러내다 보니 최종심에 오른 시는 강영식의 '삼거리 외눈부처'와 '물수제비', 이연아의 '대팻밥을 담으며', 안성덕의 '구두병원'과 '입춘' 등이었다. '삼거리 외눈부처'는 개성미와 형상성이 괜찮았으나 울림이 부족했고, '물수제비'는 깨끗하고 투명한 이미지가 좋았으나 단순 처리된 것이 흠이었다. '대팻밥을 담으며'는 수준급에 달했으나 부분적으로 산문형태의 상투성이 눈에 거슬렸다. '대패질은 힘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의 돌출로 말미암아 아차, 하는 사이에 당선권에서 밀려났다. 상식이 통하지 않은 것이다.

'구두병원'은 어둡고 구석진 삶의 단면을 걷어내고 윤끼 반짝이는 건강성을 보이고 있으나 끝 연의 처리가 안이하게 풀어져 균형을 잃고 말았다. 당선작 '입춘'은 구조의 일관된 응집력과 나무랄 데 없는 언어표상, 그리고 선명한 주제와 함께 시의 내면을 가득 채운 따뜻한 훈김이 삶을 지탱하게 하는 역동성으로 작용하여 당선작 선택에 두 사람의 의견이 일치했다. 읽을수록 깊이 깨물려 단물이 고였다. 참신한 이미지의 거듭됨이 안정된 어조로 짜여 있다. 더할 수 없이 살기 힘든 현실의 가난과 외로움을 따뜻이 끌어안고 삶의 밑바닥을 뒤지면서도 절망하지 않는 이웃의 아름다움이 측은지심을 넘어 감동을 이끌어낸 수작이다. 그라시아스 합창단의 크리스마스 칸타타처럼 생명감이 넘치는 노래다. 재활용품 수집이 생계수단인 할머니와 어린 손주, 이들 가족사의 진정성을 뒷받침해줄 끝 부분의 희망의 불씨 또한 시의 완성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 심사위원 : 이운룡(시인·문학평론가) 정양(시인·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