檀園 金 弘道의 미술 세계
檀園 金 弘道의 미술 세계
본관은 김해.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서호(西湖)·화
사(醉畵士)·고면거사(高眠居士)·첩취옹(輒醉翁)·단구(丹邱). 만
호를 지낸 진창(震昌)의 손자인 석무(錫武)의 아들로 태어났다.
화원 집안인 외가로부터 천부적 재질을 물려받은 듯하다. 어
려서는 경기도 안산에 칩거중이던 당대 최고의 문인화가이며
이론가인 강세황(姜世晃)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다. 20대에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으며, 28세 때인 1773년에는 어용화사
로 발탁되어 영조어진과 왕세자의 초상을 그리고, 이듬해 감목
관(監牧官)의 직책을 받아 사포서(司圃署)에서 근무했다. 1777
별제(別提)로 있으면서 강희언(姜熙彦)·김응환(金應換)·신한평
(申漢枰)·이인문(李寅文) 등과 함께 그림제작에서 두드러진 활
동을 했다.
1781년에는 한종유(韓宗裕)·신한평 등과 함께 정조어진 익선
관본(翼善冠本) 도사(圖寫)의 동참화사로 활약하고 그 공으로
경상도 안동 부근 안기(安奇)역의 찰방(察訪)을 제수받았다. 이
무렵부터 명(明)의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의 호를 따라 '단
원'이라 자호했다. 1788년에는 김응환과 함께 왕명으로 금강
산 등 영동 일대를 기행하고 그곳의 명승지를 수십 장(丈)이나
되는 긴 두루마리에 그려 바쳤다. 1791년에 다시 어용화사로
선발되어 정조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 제작에 참여한 공으로,
그해 겨울 충청북도 연풍 현감에 임명되어 1795년 정월까지
봉직했다. 현감 퇴임 후의 만년에는 지방의 권농(勸農)을 지내
기도 했는데, 병고와 가난이 겹친 생활고 속에서 여생을 마쳤
다. 1810년경을 전후하여 타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지출처:http://cfs1.planet.daum.net
'그림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묵담채화 /최영희 (0) | 2009.01.13 |
---|---|
미인도 (0) | 2009.01.13 |
노인들-아방가르드의 수목화 / 이상원 화백 (0) | 2008.09.11 |
기다림을 위한 풍경 - 김충식 (0) | 2008.09.04 |
박광진화백의 갈대 (0) | 2008.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