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푸른 소나무>님의 플래닛에서
<13회 지용신인문학상 수상작>
왜 그랬나요? / 이수진
길바닥에 누워버린 들꽃처럼
바람에 지쳐버린 나무처럼
짐도 없지. 짐도 없지.
그 저 그저 살아온 거지.
버릴 것도 없고
이룰 것도 없고
배 따뜻하면 만족하지.
더 딘 더딘 아이처럼
발끝마다 가시가 솟아나도
울면 그만이지. 울면 그만이지.
얼음 속에 눈 녹아 들어가듯
추운 마음 익숙하여
울 수도 없었지.
그저 흉내 낸 거겠지.
시계바늘 돌아가듯
익숙한 하루태엽들
버젓이 내게 감기며
하루하루 노래하며 지내는
베짱이 신세였지.
그래 그게 나였지.
심사평
신경림-시인 유종호-문화평론가
전년보다 응모작품 편수도 훨씬 많고 수준도 높았다. 아쉬운 점은 내용이나 수준이 비슷비슷한 작품들이 많고, 산문인지 운문인지 구별이 안가는 시들도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공부하는 과정에서 좋은 시를 제대로 찾아 읽지 못한 결과로 보였다. 예컨대 우리 시를 폭넓게 접하는 대신 최근의 신춘문예 당선 시 등 젊은 사람들의 시만을 중점적으로 공부한 것이 아닌가 여겨졌다. 또 시는 산문과 달리 응집성이 있어야 하고 폭발력이 있어야 하는데, 평이한 전개나 설명으로 산문과 구별이 어려운 시들도 많았다. 무슨 얘기를 하는지 분명하지 않고 수다스럽고 혼란스러운 것도 많은 시들이 공통으로 가진 흠이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수진, 조명수, 박흥순의 시들은 이런 흠이 덜할뿐더러 개성이 강하고 아주 재미있게 읽혔다.
특히 이수진의 시들은 남이 가지지 못한 특별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었다. 가령 ‘왜 그랬나요?’이나 ‘최면술’은 경쾌하고 나이브하면서도 어떠한 우리시와도 같지 않은 목소리의 시다. 남이 보지 못하고 느끼지 못하는 것을 보고 느끼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서투른 것 같은 말투, 덜 익은 것 같은 발상도 만약 자신이 이 점을 인식하고 있다면 오히려 큰 장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조금만 더 다듬으면 아주 좋은 시를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완성도만 가지고 본다면 조명수의 시들이 더 나을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한때 낙타처럼/ 굽은 아버지의 등을 증오했다”는 진술의 ‘아버지의 등’은 호소력도 있고 감동도 준다. 한데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같고 만져 본 것 같은 구절들이다. 박흥순의 ‘꽃잎이 바르르 떤다’는 산문이 아닌 시가 갖는 재미를 충분히 맛보게 해 주는 시다. ‘양파’도 말을 적당히 절제하고 생략한 점에 있어 다른 이들의 시와 크게 구별된다. 한데 어느 한구석 빈 것 같은 느낌을 어쩔 수가 없다. 이상 세 사람의 시 가운데서 선자들은 이수진의 ‘왜 그랬나요?’를 당선작으로 뽑는 데 쉽게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유종호·신경림>
'수상작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렌지 / 김상미(제 4회 「 박인환 문학상」수상작품 중에서) (0) | 2007.09.20 |
---|---|
라면을 끓이다 / 이재무 (0) | 2007.07.09 |
성에꽃 / 최정희<제7회 세아뜨문학상 대상 수상작> (0) | 2007.06.06 |
8월의 식사 / 장철문, <2006년 [노작문학상수상작품집] 우수작품 중1> (0) | 2007.04.22 |
미토콘드리아에 사무치다 / 고형렬 (0) | 2007.03.13 |